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4

신입 개발자가 가져야 하는 마인드(feat.비전공자가 개발자로) 벌써 입사한지 3개월이 됐다. 수습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도 됐다. 뿌듯했다. 작년까지만 해도 나는 영업관리자로 근무를 하고 있었다. 2022년 10월부터 열심히 공부해 올해 1월 부트캠프 수료하고 2월에 취직을 했다. 철학과 출신 비전공자가 개발자가 된 것이다. 아직 부족한게 많다고 느끼고 있다. 무엇을 해야 할까 고민하다가 책을 읽어야 겠다고 생각을 했다. 부트캠프 동기들과 첫 책을 시작했다. 첫 책은 김창준님이 지은 [함께 자라기] 이다. 유튜브에서 배달의 민족 기술이사였던 김영한님이 추천해서 골랐다. 지속적으로 개발자의 길로 나아가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리고 애자일이 뭔지 궁금했다. 이제 막 수습 딱지를 뗀 나에게는 안성맞춤이었다. 많은 내용들이 나오지만 평생 까먹고 싶지 않은 3가지를 소개하려고 .. 2023. 5. 26.
정규화와 반정규화 1. 정규화(Normaliztion) 데이터 정합성(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보장)을 위해 엔터티를 작은 단위로 분리하는 과정이다. 1) 제1정규형 - 모든 속성은 반드시 하나의 값만 가져야 한다. 2) 제2정규형 - 엔터티의 모든 일반속성은 반드시 모든 주식별자에 종속되어야 한다. 3) 제3정규형 - 주식별자가 아닌 모든 속성 간에는 서로 종속이 될 수 없다. 생각! 정규화를 공부하던 중 제2정규형과 제3정규형이 헤깔렸다. 조금 차이점이 있었다. 제2정규형을 만족하는 경우는 일반속성이 주식별자에 종속이 되어야 한다. 근데! 주식별자에 모두 종속이 되더라도 일반속성들끼리 서로 종속관계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제3정규형이 필요한 것이다! 정규화를 할 경우 데이터 조회성능은 처리조건에 따라 향상.. 2023. 4. 16.
[SQL] DML 기초가 핵심 취준생일 때는 몰랐는데 취직하고 일을 시작하니 백엔드 개발자에게 데이터베이스는 필수라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비즈니스 로직을 짜는 것도 중요하지만 쿼리문 짜는 것도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는 중이다.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 어는 기본 중에 기본이다. 테이블을 읽는 것뿐만 아니라 함수랑 프로시저를 만들 때에 필수로 들어간다. 그래서 개념들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가끔 헤깔릴 때도 있어 정리해 본다. 1) SELECT 명령어 - 데이터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가장 익숙한 형식 - SELECT 명령을 실행하면 표 형식의 데이터가 출력됨 사용법) - SELECT 보고싶은 컬럼명 FROM 테이블명; 2) INSERT 명령어 - 데이터를 테이블에 삽입하는 명령문 .. 2023. 4. 11.
[JAVA] 메소드 오버로딩 자바개발자로 취직을 했다. 이전까지는 자바스크립트만 공부했었는데, 자바를 쓰게 됐다. 그래서 같이 공부하는 친구들과 스터디를 하기로 했고, 블로그를 1주일에 1개씩 업로드하기로 했다. 먼저 메소드를 공부하게 됐다. 책으로 공부하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아 먼저 자바기초강의부터 듣기로 했다. 내가 고른 강의는 인프런에서 들을 수 있는 '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이다. 메소드(method)를 먼저 공부를 했다. 자바에서 클래스는 속성을 표한하는 필드(field)와 기능을 표현하는 메소드(method)를 가진다. 메소드란 어떠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메소드의 사용 목적은 중복되는 코드의 반본적인 프로그래밍을 피하기 위함이고 모듈화를 인해 코드의 가독성도 좋아진다. 메.. 2023. 3. 19.
[TIL] IT 5분 잡학사전 #11~#15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 / 2 / 21(화) 오늘 읽은 범위 #11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비슷한거 아니야? ~ #15 플래시의 서비스 종료와 스티브 잡스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11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비슷한거 아냐? 공통점 : 개발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들어준다! 차이점 : 내가 제어하는가, 제어당하는가! 여러분이 어떤 도구에 대해서 모든 결정을 내리고 있다면? 그 도구는 라이브러리! ex) 제이쿼리, 부트스트랩\ 반대로 정한 규칙에 따라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면? 프레임워크!! ex) 장고, 스피링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어렵풋이 알고 있던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정리가 됐다!! 2023. 2. 21.
[TIL] IT 5분 잡학사전 #6~#10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 / 2 / 19(일) 오늘 읽은 범위 #6 왜 나만 오류가 자주 생길까? ~ #10 코틀린은 정말로 자바와 100% 호환될까?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9 - 자바스크립트는 웹 개발에만 쓰는 언어일까?? 아니다!! 1. 하이브리드 앱, 크로스 플랫폼을 만들 수 있다 -- 리액트 네이티브 활용 2. 윈도우, 맥, 리눅스를 위한 데스크톱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다 -- 일렉트론(Electron)을 활용. 일랙트론은 HTML, CSS, 자바스크립트를 가져다 컴파일해서 윈도우, 맥, 리눅스에 설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주는 도구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슬렉, 스카이프, 깃허브, 아톰도 일렉트론으로 만들었다 3.게임도 만든다 -- .. 2023. 2. 20.
[TIL] IT 5분 잡학사전 #1~#5 TIL (Today I Learned) 날짜 2023 / 2 / 18(토) 오늘 읽은 범위 #1 개발자에 대한 오해 5가지! ~ #5 C, C++, C#은 이름처럼 비슷할까?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 비전공자라고 무작정 코딩에 도전하면 안된다. 자신의 흥미, 적성에 잘 맞아야 한다. 개발자는 우선 논리적으로 생각하기를 좋아하고 문제 해결을 즐기는 성향이 필요하다. - 프로그래밍 언어는 무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싶은지에 따라 달라진다. 가전 제품에 이식되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다면 ? C언어 시스템 유지·보수,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하고 싶다면 ? 자바(JAVA) 웹 개발, 인공지능 개발 등 범용성이 매우 넓고 초보자에게 강추! 파이썬 웹 개발을 하고 싶다면? 자바스크립트(JavaScri.. 2023. 2. 18.
IT 5분 잡학사전 챌린지 시작~~ 요즘 노마더 코더에서 강의를 듣고 있어요!! 얼마 전에 코코아톡 클론코딩 강의를 100%로 완료 했어요! 그리고 IT 용어를 익숙해지기 위해! IT 5분 잡학 사전(노개북) 챌린지도 시작했어요 ㅎㅎ 2주동안 책도 읽고 글쓰기 습관을 가져보려고요!! 화이팅~~ 2023. 2. 17.
CSS combinator(결합자) html에서 id나 class로 선택 안 하고 tag로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볼 거예요. combinator(결합자)를 이용하는 방법이에요. 총 4가지 방법이 있어요. 1️⃣ (space) - 부모 밑에 있는 모든 자식 태그! ex) div (space) span div 태그의 자식 태그인 span 모두가 선택이 돼요! 2️⃣ > - 바로 밑에 자식 태그 ex) div > span div 태그 바로 밑에 첫 번째 span 태그만 선택이 돼요! 3️⃣ + - 붙어 있는 형제 태그! ex) div + address div 바로 붙어 있는 address 태그가 선택이 돼요! 4️⃣ ~ - 떨어져 있는 형제 태그! ex) div ~ footer div랑 붙어 있지는 않지만 footer 태그도 선택! 2023. 2. 4.
[CSS] display 속성 3가지(block, inline, flex) css를 공부를 했어요. display 속성을 공부하면서 3가지 value를 알게 됐어요. 1️⃣ block 2️⃣ inline 3️⃣ flex 1. block block의 대표적인 태그는 이에요. 옆에 아무것도 올 수 없어요! 2. inline inline의 대표적인 태그는 이에요. 옆에 올 수 있고, 높이와 넓이를 갖지 못해요! 패딩은 사방에 다 줄 수 있지만 마진은 위아래는 적용이 안돼요! 3. flex box block과 inline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나온 개념이에요. flexbox를 이해하려면 주축과 교차축이라는 두 개의 축에 대한 정의를 알아야 돼요. 주축은 flex-direction 속성을 사용해 지정할 수 있어요. 디폴트 값은 row(주축, 가로, 인라인 방향)에요! 그럼 교차축은 col.. 2023. 2. 3.
반응형